패널 심재로 쓰이는 재료는 어떤 등급으로 구분이 될까요?
불연, 준불연, 난연, 가연 네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의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불연(不燃)-난연1급
아니 불, 불탈 연 : 불에 타지 아니함
불연 재료는 말 그대로 불에 타지 않는 재료입니다.
화재시 너무 강한 불에는 녹거나 하지만 연소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입니다.
종류: 벽돌, 시멘트, 콘크리트, 석고, 석재, 기와, 유리, 석면판, 알루미늄, 철강, 그라스울 등
20분간 750℃ 로 가열하여 자체 열발생 50℃ 미만으로 적으며
10분간 305℃ 로 가열하여 잔류불꽃이 30초 미만으로 없어야 합니다.
그라스울은 불연자재입니다.
그러나 개정된 건축법에 의해 준불연 자재로 인정됩니다.
준불연(準不燃)-난연2급
준할 준, 아니 불, 불탈 연 : 불에 타지 않는 것에 준함
준불연 재료는 재료 자체는 간신히 연소하지만 크게 번지지 않으며
불연 재료에 준한 방화 성능을 갖춘 재료입니다.
종류: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펄프시멘트만, 미네랄텍스 등
10분간 305℃ 로 가열하여 잔류불꽃이 30초 미만으로 없어야 하며,
그 재료의 연소가스 속에 방치된 쥐가 9분이상 활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그라스울 판넬이 준불연 재료입니다.
난연(難燃) - 난연3급
어려울 난, 불탈 연 : 타는 것이 어려움
난연 재료는 불에는 타지만 연소는 잘 되지 않는 재료입니다.
종류: 난연 합판,난연 플라스틱 등
6분동안 235℃ 에서 가열하여 잔류불꽃이 30초 미만으로 없어야 하며,
그 재료의 연소가스 속에 방치된 쥐가 9분 이상 활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공인시험기관으로부터 난연 재료 시험을 실시 하여
열방출율 및 가스 유해성을 진단
적합판정을 받은 재료는 난연재료로 인정을 받게 됩니다.
갈수록 기술력이 좋아지면서
난연 인증을 받게 되는 재료가 늘어남에 따라
용도 및 구역에 맞는 재료 선택폭도 넓어지는 것 같습니다.
패널로는 난연보드를 사용한 우레탄패널, EPS패널이 난연에 속합니다.
하지만 우레탄 패널, EPS 패널이 난연2급 적합 보드(프로폴)를 사용함에 따라
준불연 기준까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가연(可燃)
옳을 가, 불탈 연 : 불에 탐.
가열하면 연소되는 재료입니다.
종류: 목재, 스티로폼, 우레탄, 비닐, 플라스틱 등
난연기준 판넬
1. 일반 가연성 판넬 - 일반 EPS판넬, 일반 우레탄판넬
2. 난연 3급 판넬 - 난연 EPS판넬, 난연 우레탄판넬
3. 난연 2급 판넬 - 난연 EPS판넬, 난연 우레탄판넬, 그라스울
'경량철골 및 판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립식경량철골/조립식철골/경량철골]안성시 미양면 고지리 창고 신축공사 (0) | 2021.07.12 |
---|---|
패널(판넬)종류-기타 패널 (0) | 2021.07.09 |
[조립식경량철골/조립식철골/경량철골]200204-강원 원주시 호저면 버섯재배사 신축공사(태양광) (0) | 2021.07.08 |
패널(판넬)의 종류-EPS, URETHAN, 글라스울 판넬 (1) | 2021.06.28 |
[조립식경량철골/조립식창고/조립식철골/경량철골/leb]화성시 장안면 창고시설 신축공사 (0) |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