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동향 썸네일형 리스트형 2월 2주 주요 제조업 전망 이번주부터는 각 제조업 부분에 대한 전망을 올리려고 합니다. 우리 산업은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가지만을 올리는것 보다는 두루두루 알아두시는 편이 좋겠지요.. 이번주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긴장 고조와 OPEC의 원유 감산으로 기름값이 많이 인상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유기적으로 물려있는 여러가지 산업의 기본생산 원가가 높아져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겠네요.. 지금도 인플레이션이 계속되고 있는데 앞으로도 계속되어지려나 봅니다.. 1. 자동차 □ 현대차‧기아, 미국 시장 역대 최다 1월 판매 기록 - 현대차‧기아가 올해 1월 미국에서 9만 3,998대를 판매함.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수치임.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미국 주요 5개 자동차 업체의 1월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7.2% .. 더보기 1월 4주 철강동향 자동차에 쓰이는 강판을 철강회사들이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네요..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는 상황인데 또 인상이 되면 자동차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여 소비자 부담이 더 커지는 상황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철강회사들의 담합이 공정위에 적발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담합 행위는 최종적으로는 기업에게 불이익이 되는 일일텐데 근절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안타깝네요. 올해도 여전히 철강제품 가격이 상승될것으로 보여 저희 업계도 긴장의 연속입니다. □ 1월 3주 철강 가격 동향(톤당) - 국내 : 열연 유통가 112만 원(전주 대비 동결), 철근 유통가 104만 원(전주 대비 +0.5%) - 중국 : 열연 유통가 4,844위안(전주 대비 +0.1%), 철근 유통가 4,765위안(.. 더보기 1월 2주 철강 동향 이번주 철강 가격은 보합세로 다소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구의 기후 위기로 인해 앞으로는 탄소를 배출하는 산업에 대해 제제가 가해질 것으로 보여 철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 올해 철강산업 전망 밝다 - 한국신용평가가 5일 2022 산업 전망 웹캐스트에서 올해 23개 산업 전망을 분류함. 23개 산업은 ‘우호적’ 4개, ‘중립적’ 17개, ‘비우호적’ 2개로 분류됐는데, 전망이 우호적이라고 평가되는 산업에 철강, 메모리반도체, 해운, 은행업이 꼽힘 ▷ 전망 -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철강산업은 양호한 수급여건이 이어질 전망.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철강 수요 호조와 중국발 공급부담 완화”덕분. 또한 한국신용평가는 원자재 가격이 안정화되며 적정한 마진을.. 더보기 1월 1주 철강 전망 1월 철강동향입니다. 철강 가격은 잠시 주춤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네요. 그렇지만 여전히 예년보다 높은 가격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 12월 5주 철강 가격 동향(톤당) - 국내 : 열연 유통가 114만 원(전주 대비 동결), 철근 유통가 103만 원(전주 대비 동결) - 중국 : 열연 유통가 4,749위안(전주 대비 –1.7%), 철근 유통가 4,721위안(전주 대비 –2.4%) ▷ 전망 - 지난달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12월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50.3으로 발표. 기준선인 50을 넘어서면 경기 호황 국면. 중국의 월간 제조업 PMI는 9월과 10월 50 밑으로 내려간 바 있음. 11월부터는 PMI 50 이상 유지 중. 중국의 경기회복은 철강수요의 회복을 의미...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