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초부터 시작된 철강재의 인상부터 건설관련 원자재들의 가격 상승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건설업계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와 관련된 뉴스입니다.
철근, 시멘트, 목재, 도료, 창호까지 전체적으로 오름세 커
자재값 급등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은 여전히 쉽지 않아…분쟁 가능성도
건설업계가 자재 가격 상승 여파에 허덕이고 있다. 올해 초부터 이어진 불안정한 원자재 수급 상황에 따라 각종 건자재 가격들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며 자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택건설 현장에서 흔히 쓰이는 10㎜ 철근(SD400)의 유통 가격은 t당 100만원 초반대에 형성돼 있다. 140만원까지 치솟았던 5∼6월 철근 수급대란 시점에 비하면 다소 떨어지긴 했지만, 연초와 비교하면 40% 오른 수준이다.
시멘트 가격도 오름세를 타고 있다. 시멘트 제조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이 최근 1년 사이 3배나 폭등하며 가격 상승 압력을 받았다. 지난해 11월 t당 55.39 달러였던 동북아산 유연탄 가격은 지난 6월 104.52달러까지 올라타더니 지난달 221.9달러로 2배 이상 폭등했다.
여기에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최근의 ‘요소수 파동’까지 더해지며 시멘트 가격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멘트는 석회석을 클링커(시멘트 완제품 전 단계)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는데, 환경기준을 맞추기 위해 요소수를 투입해 질소산화물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품귀난이 가시화되자 시멘트 공급 감소를 우려한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시멘트업계는 지난 7월 시멘트 가격을 5.1% 올린 데 이어 내년 상반기 중 추가 가격 인상까지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밖에 목재ㆍ유리ㆍ도료 등의 건자재 역시 원자재 수급 상황이 열악해지며 도미노식 제품 가격 인상이 이어지는 중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에서는 비용 상승분을 인정한 계약금액 조정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 전문건설업계 관계자는 “공공공사 현장에서는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에스컬레이션(E/S) 제도가 적용되지만, 민간공사 현장에서는 자재비 인상에 따른 부담을 전문업체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라며 “적자 시공을 하는 영세업체들이 도산하게 된다면 현장에서도 공사가 제대로 실행되기 어려운 극단의 상황으로 치달을 수도 있게 된다”고 토로했다.
그렇다고 원도급사에서 상승한 원자재값을 전부 반영해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공사비 인상이 불가피한데, 발주처가 인상분을 반영해주지 않을 경우 고스란히 손실만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자재값 상승 문제가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여긴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미 들어간 현장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더라도 향후 들어갈 현장에 대해서는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한 대형건설사 하도급 담당자는 “자재가격 상승세가 연말까지 이어지게 된다면 계약금액 조정을 위한 발주자와 원청 간의 분쟁, 원청과 하청 간의 분쟁 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경제신문 발췌
'업계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3주 철강 분야 전망 (0) | 2021.12.27 |
---|---|
12월1주 철강 분야 전망 (0) | 2021.12.13 |
급등한 철강 값, 비닐하우스 수리 부담/농민들은 태풍 만들 하늘만 보고 있다. (0) | 2021.08.25 |
철강가격 상승에 사재기 조짐…정부합동점검반 가동, 시장교란행위 엄단 (0) | 2021.08.06 |
철근값, 장마 끝나면 또 오른다..ㅠㅠ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