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계동향

1월 2주 철강 동향

이번주 철강 가격은 보합세로 다소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지구의 기후 위기로 인해 앞으로는 탄소를 배출하는 산업에 대해 제제가 가해질 것으로 보여 철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 올해 철강산업 전망 밝다

- 한국신용평가가 5일 2022 산업 전망 웹캐스트에서 올해 23개 산업 전망을 분류함. 23개 산업은 ‘우호적’ 4개, ‘중립적’ 17개, ‘비우호적’ 2개로 분류됐는데, 전망이 우호적이라고 평가되는 산업에 철강, 메모리반도체, 해운, 은행업이 꼽힘

▷ 전망

-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철강산업은 양호한 수급여건이 이어질 전망.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철강 수요 호조와 중국발 공급부담 완화”덕분. 또한 한국신용평가는 원자재 가격이 안정화되며 적정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 이어 한국신용평가는 “포스코의 경우 당분간 우수한 수익성과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탈탄소 시대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업계 최상위권의 지위를 유지할지 면밀하게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힘

□ 탄소국경조정제도 시행하면 한국 철강수출↓

- EU가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운영하면 우리나라의 철강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9일 나옴

▷ 전망

- 산업연구원은 ‘탄소국경조정에 대한 주요국 입장과 국내 무역 경쟁력 변화’ 보고서를 내고 “(탄소국경제도 시행 후) 2020년 9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1년간 유럽과 한국의 배출권거래제 1일 가격 최대 차이인 55.4달러로 계산하면 철강산업은 20.6% 정도 EU 수출 감소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밝힘.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고, 철강과 석유화학, 반도체 등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업종을 주력으로 하기 때문

- EU집행위원회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입법안을 지난해 7월 발표한 바 있음. 탄소국경조정제도는 탄소배출 규제가 강한 나라를 피해 규제가 약한 나라에서 생산, 수입하는 제품에 탄소배출량과 규제수준을 고려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제도. EU는 3년간 과도기를 거친 후 2025년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전기 등의 품목에 2025년 우선 적용하겠다는 계획

□ 포스코, ‘미래’기술연구원 개원

- 포스코가 수소와 배터리, AI 개발을 전담할 미래기술연구원을 4일 출범

▷ 전망

- 철강산업은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 업종 중 하나. 포스코도 기술개발을 통해 새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 포스코가 출범시킨 미래기술연구원은 기존 철강 연구가 중심인 포스코 기술연구원과는 달리 수소, 배터리, AI 개발이라는 3개 연구소 체제로 돌아갈 예정

- 향후 포스코의 철강 사업 비중도 줄어들 전망. 비철강 부문의 사업을 끌어올려 무게중심을 옮기겠다는 전략

출처 : 참여와혁신(http://www.laborplus.co.kr)

'업계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4주 철강동향  (0) 2022.02.04
국토부 전국 건설현장 긴급 안전점검 추진  (0) 2022.01.17
1월 1주 철강 전망  (0) 2022.01.10
12월 3주 철강 분야 전망  (0) 2021.12.27
12월1주 철강 분야 전망  (0) 2021.12.13